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5가지 관점

by diplus 2025. 4. 17.
반응형

코인의 성격으로 분류하고, 기관 흐름으로 이해하기

암호화폐 시장은 더 이상 투기성 자산만이 아닙니다.
2025년 현재, 미국 정부와 글로벌 기관들조차 전략적 자산으로 디지털 코인을 비축하며
본격적인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편입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는
단순한 코인을 넘어 국가와 기관이 선택한 미래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코인들을 5가지 성격으로 나누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투자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제 기관의 투자 흐름과 맞물리는 주요 코인들을 소개합니다.


1. 가치 저장형 자산 (Store of Value)

대표 코인: 비트코인(BTC), Pax Gold(PAXG)

비트코인은 미국 정부가 사이버 범죄 자산 환수 외에도,
2025년 3월 **디지털 자산 비축 계획**을 발표하며
전략적 보유 대상으로 공식 지정한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입니다.
Pax Gold(PAXG)는 **Paxos**에서 발행한 금 기반 토큰으로,
1개의 PAXG는 실물 금 1온스에 1:1로 연동되어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는 인플레이션 방어, 장기 가치 저장, 분산 자산으로서
전통 자산군(금, 달러, 채권 등)을 보완하는 용도로 활용됩니다.


2. 플랫폼형 코인 (Layer 1 / Layer 0 기반 생태계)

대표 코인: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아발란체(AVAX), 카르다노(ADA), 세이(SEI)

미국 정부는 2025년 3월 발표한 **디지털 자산 비축 계획**을 통해
이더리움, 솔라나, 카르다노기술 인프라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장기 비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EI는 고속 체결 기능에 특화된 트레이딩 중심 블록체인으로,
글로벌 기관인 **World Liberty Financial**이 공식 투자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EI의 기술력과 성능은 SEI Network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형 코인은 블록체인의 운영체제와 같으며,
DApp, DeFi, NFT 등 다양한 서비스가 올라가는 기반 역할을 수행합니다.


3. 실사용 중심 유틸리티·결제 코인

대표 코인: 리플(XRP), 체인링크(LINK), 스텔라루멘(XLM), BNB

리플(XRP)은 미국 정부의 디지털 자산 비축 대상 중 하나로,
국제 송금 시스템의 효율성과 속도를 혁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체인링크(LINK)는 온체인과 오프체인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오라클 기술로,
디파이 생태계에서 실질적인 실사용이 많은 코인입니다.

유틸리티 코인은 실제 수요가 뒷받침될수록 그 가치가 상승하며,
수수료, 결제, 송금, API 연동 등 다양한 실무적인 용도로 사용됩니다.


4. 기술·미래형 인프라 투자 (Web3, AI, DePIN 등)

대표 코인: AR, RNDR, FET, GRT, OCEAN, PENDLE

World Liberty Financial은 **공식 미디어 및 SNS**를 통해
SEI 외에도 FET(인공지능), RNDR(GPU 렌더링), AR(분산 파일 저장),
OCEAN(데이터 마켓), PENDLE(수익 토큰화)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카테고리는 전통 자산의 틀을 넘어서는 미래형 인프라 투자 포지션이며,
성장성은 크지만 변동성도 큰 만큼 분산 전략과 기술 이해도가 중요합니다.


5. 거버넌스·커뮤니티 중심 코인 (DAO 기반)

대표 코인: UNI, AAVE, MKR, ENS, COMP

이 카테고리는 프로토콜의 방향성과 수익 구조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거버넌스 참여형 토큰들입니다.
MakerDAO의 MKR, Uniswap의 UNI, Aave의 AAVE 등은
디파이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며,
플랫폼 자체의 성공 여부와 긴밀히 연결됩니다.


특별 섹션: 미국 디지털 자산 비축 선언 (2025년 3월)

2025년 3월, 미국 재무부는 **디지털 자산 비축 계획**을 발표하며
다음 5가지 코인을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 디지털 자산으로 장기 보유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 비트코인 (BTC) – 디지털 금, 장기 가치 저장
  • 이더리움 (ETH) – 스마트 계약 기반 인프라
  • 리플 (XRP) – 글로벌 송금 네트워크
  • 솔라나 (SOL) – 고속 트랜잭션 Layer 1 체인
  • 카르다노 (ADA) – 거버넌스 중심 블록체인 생태계

또한 미국 정부는 약 **21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사이버 범죄 환수 및 전략 보유 목적으로 관리 중이며,
이는 세계 최대 BTC 보유량 중 하나입니다.


마무리하며

암호화폐는 이제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정부, 기관, 투자자들이 함께 움직이는 신자산 시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코인의 성격과 목적을 파악해
“가치 저장”, “기술 인프라”, “실사용”, “혁신 투자”, “거버넌스 참여”
각 분야별로 전략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 글을 통해
당신만의 투자 기준과 장기 전략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